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방간 고양이

by 태조산 2023. 5. 17.

https://www.vin.com/apputil/content/defaultadv1.aspx?pId=11343&meta=generic&catId=34572&id=5124420&ind=183&objTypeID=17

 

가낭 흔한 간의질병, 제일 많은건 중년령의 고양이, 비만과 함께 같이 발병한다.

secondary 하게 어떤 식욕저하 질병과도 함께 발병가능함.

anorexia 가 2-7일 정도로 짧을수도

가장 흔한 동반질환(co-morbidities) 은 다른 간에 대한 질병, 소장의 질병, 췌장염, 종양, 신장병, 당뇨.

건강한데, 새로운음식 거부로 자발적으로 밥을 안먹거나, 밥을 못먹는 환경이거나, 너무 심하게 다이어트 하거나 할때 일어날수도있다.

 

hypo K 혹은 간성뇌증 일어날수있다. 

근래의 최중감소, 황달이 특징적이다.

통증을 동반하지않는 간비대증 간 초음파상 hyperechogenicity 찾아질수있다.  하지만 초음파는 진단용은아니다. 

hypo K 는 근육 위약을 불러일으키고, 멍들기 쉬움(coagulation abnormalities) 일어날수있다.

하인즈소체를 동반한 빈혈, 빌리루빈증가, 알부민감소, ALP 증가가 나타난다. ALT 는 ALP 만큼 일관성을가지지는 않는다. 일반적인 지방간에서 GGT 는 ALP 오르는것과 비례하여 오르지만, 지방간에서 GGT 정상인 경우도 흔하다.

확진은 바이옵시.

 

치료

초기에 전해질 이상 맞추는것

하지만 cornerstone (기초) 치료는 위장으로 음식을 소화시키는거임.

시간 흐르면 식도관이나 위관튜브 잡으면 된다.

처음 3일간은 리피딩신드롬에 주의하자.

 

 :: 고양이 리피딩 예방 위해 적어도 2일동안은 RER 이하로 복용, 3일째부터 RER 가능하다.

($$ 치료케이스보면 고양이 지방간환자들 퇴원할때까지 RER 까지 도달못하는경우 많다. 침을 많이흘린다던지, 토할것같다던지, 칼륨이 계속 안좋다던지, 부종이 생긴다던지 하면 RER 1/3~1/2 으로 쭉 유지해도 tbil 떨어질애는 떨어지더라. tbil 떨어지고 유연증상 호전될때쯤 rer 2/3 위로 증량하는것도 방법)

 

dextrose 는 금기시된다. hyperglycemia 올수도있기때문이다.

손상된 lactate 대사는 lactate 포함된 수액을 달으라고 제안하기도 한다.

LRS 수액은 보통 성공적이다.

 

식이적인 선택 : 

- 식이 단백질은 제일 중요합니다.

- 간성뇌증이 있지않으면 (전체환자의 약 5%) 단백질 제한을 하지 않는다.

- 칼로리 공급원으로 탄수화물보다 지질이 더 좋음. (Carbohydrates are less well tolerated than lipids) : 

- 높은 탄수화물은, 설사, 복통, 복명음, 고혈당 등을 유발할수있다.

- 지방간고양이에서는 30-40% 의 단백질, 중간정도의 단백질, 20% 이하의 탄수화물이 관장된다.

 

계획세우기

* 리피딩 예방 위해 3일부터 RER 으로 급여, 적어도 2일동안은 RER 이하로 급여한다.

- 50-60kcal/kg/day을 목표로 한다. 

- 비만고양이에서는 이상 체중으로 RER 을 계산한다. 

- 지방간있는 고양이에서의 위장 부피는 원래의 10% 까지도 감소할수있다.

- 구토를 예방하기위해, 처음에는 3~4회 제공한다.

- 처음에는 RER 20%, 그리고 하루마다 10~20% 씩 증량한다.

- volume-tolerant 있는 고양이도, 첫주에는 호전을 보일거라고 기대할수있다.

- 웩웩거리면 먹이는걸 중단하고, 12시간동안은 음식의 양을 50% 으로 줄이고, 다시 천천히 증량한다.

- 구토를 하더라도 밥을 줘야할때도 있다.

 

RER 계산법 : =IF($D$2>=2,IF($D$2<=35,30*$D$2+70,70*$D$2^0.75),70*$D$2^0.75)

체중이 2kg 아래라면, 70*kg^0.75

체중이 35 아래라면 30*kg+70

체중이 35 이상이라면 70*kg*0.75

 

이곳에서 PPN 으로 줄수있는 영양소는 RER 의 50% 이다.

 

새로나민/헤파비아/헬파워솔/네프리솔 등은 아미노산 제재이다.

(지방간 고양이에서는 lipid, dexa 를 쓰지 않는다고 함, 간이 해주는 일을 단지 수액으로 분담하는 느낌임)

단백질이 PPN 칼로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5% (탄25%,지50% 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RER*50%*25% 한 것이 아미노산으로 보충할 kcal 이다.

 

일반적으로8.5% 아미노산 제재를 사용한다. 8.5% 라는것은 0.085mg/L 라는 뜻임.

1g 에 4kcal 이므로, 8.5*4 하면 아미노산 제재는 0.34kcal/ml 이라는 뜻임.

 

복잡하면 그냥 아래 계산기를 이용하자.

PPN(수액량계산).xls
0.06MB

 

치료

 

(1) 항구토제

- meto(CRI 1~2mg/kg/day, 0.2-0.5 mg/kg q 8hr sc 밥먹기 30분전) 은 첫번째로 선택됨.

- HZ동물병원의 경우 meto 0.08mg/kg/hr 으로 CRI (축약공식 : 8*kg/속도 ml 을 500 ml 수액에 넣는다.)

- 고양이에서는 항구토효과가 약해서, 세레니아 1mpk iv or SQ, ondansetron (0.1-0.3mg/kg q 8-12hr iv) 가 선택되기도 한다. (통상 0.2mg/ml 이므로 0.1ml/kg 으로 주면 될듯. 약전에는 0.1~1mg/kg 으로 다양하게 나옴)

- H2 anta 는 lower esophagus 를 산에서부터 보호하고, 위장염의 가능성을 낮추는데 도움이 된다.

 

(2) 인보충

- severe hypophosphatemia : 1.4 mg/dl 일때 언제든 용혈될수있다.

- 보충방법 : 0.01 ~ 0.06 mmol/kg/hr inusion for 6 hrs (2 mg/dl 가 될때까지 : 항상성이 중요해서 2mg/dl 까지만 높인다.)

 

(3) 마그네슘 보충

- 마그온같은거 1번 먹일수도 있는데, 보통 hypo K 같은거 호전되면 같이 호전되니 플라즈마 solution 맞으면 굳이 보충해줄필욘없을듯.

 

(2) 코발라민

- 코발라민(B12) 는 지방간고양이의 40% 에서 비정상수치가 나옴.

- 코발라민부족은 neck ventroreflexion, anisocoria (동공의 크기가 서로 다름) 까지 일으킬수있다.

- subcutaneous injection (250 µg/injection once weekly initially for six weeks)

 

250 µg/cat SC weekly (for 4-6 weeks)

50 µg/kg SC every 2 weeks in dogs

 

(3) 응고장애

- 비타민K 부족은 지방간고양이에서 자주 의심된다.

- 만약 응고장애가 의심된다면, 3번의 비타민 K1 을, 3 doses of vitamin K1 (0.5–1.5 mg/kg SQ or IM at 12-hour intervals using a 25 g needle).

- 바이옵시하기전에 주는것이 중요하다.

 

 

(4) 다른 영양소

- 보충제의 유익성은 문서화 된게 없음. : primary HL (spontaneous HL) 이 왔을때 prospective (보충제 주고 결과 대조하는거) 실험 된거 없음.

- L-Carnitine to HL cats (250 mg PO/day) 은 지방산 산화, 체형 유지에 도움이 된다 (증거 부족)

- (7–14 mg/kg) 정도 줬을때 체중 감량 예방에 유익했다는 보고도 있음.

- Foods for cats with HL should provide L-carnitine at least 0.02 DM (dry matter). DM 기준 0.02 필요하다고 하기도.

- 산화능력의 부족으로, SAMe (40 mg/kg PO q24 hours) (글루타치온 보충용)

 

(5) 예후

50% 이하로 빌리루민이 감소하는것은 7일~10일 걸린다.

간수치는 계속 처음 내원했던 수준을 유지할수도있다.

지방간의 예후를 결정하는것은 concurrent disease 가 얼마나 심각한지, 얼마나 일찍 위장관 영양을 시작했는지임.

다른 치명적인 합병증이 없다면, 밥을 위장으로 먹을때의 치료율은 80% 이상이다.

 

고양이는 피딩튜브가 3~6주동안 필요할수도있다.

보호자의 아주 적극적인 치료 참여가 필요하다.

한번 HL 에서 나으면, 잘 재발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