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전] 안충

by 태조산 2024. 12. 22.

문진)

도시에만 있었는지

hwp, ecto 잘 하시는지

눈을 많이 불편해 하는지

 

보통 대형견들이 많이 걸림

파리가 앉아도 눈 안감는 둔한애들

잘때 실눈뜨고 자는애들

  • 보호자에게 안충에 대해 설명하며 감염 가능성, 원인, 그리고 치료 과정에 대해 알려줍니다.
  • 보호자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추가 질문을 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관찰)

안충 있는지 본다.


보호자 고지)

안충이 발견되면, 안충 제거해야함을 보호자에게 안내한다.

안충제거시 마취를 하자. (smt 는 마취 안하고 그냥 보정하고 뽑아냈음)

ketamine + buto 으로 진정 + 리도카인안약 이용


처치)

물담긴 트레이 준비 : 여기에 뽑아낸 안충 담는다. (보호자 보여주기용임. 그냥 꺼내면 말라서 금방 죽는다.)

샐라인(20ml ~50ml 짜리 주사기 등 이용) + 카테터팁 으로 눈 플러싱

남아있는건 플라스틱 집게로 안충 뽑아내기

애드보킷 바르기 (목시데틴)

 


처방)

항생제 + 소염제(기생충제거이후 스테로이드안약) 안약

애드보킷 매달 하라고 안내

강아지의 안충(ocular parasites) 치료 시 구충제는 주로 systemic하게 투여합니다. 눈에 직접 구충제를 넣기보다는 전신적으로 작용하는 약물이 효과적입니다. 아래는 일반적인 접근법입니다:

1. Systemic 구충제

  • 목적: 기생충이 눈뿐만 아니라 다른 신체 부위(예: 순환계, 림프계)에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전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 대표적인 약물:
    1. 이버멕틴(Ivermectin):
      • 적절한 용량으로 경구 또는 피하 주사로 투여.
      • CNS 독성을 피하기 위해 민감한 개체(특히 콜리 계열)는 신중히 사용.
    2. 밀베마이신 옥심(Milbemycin oxime):
      • 안전성이 높아 경구제로 자주 사용됨.
    3. 모시덱틴(Moxidectin):
      • 일부 외부 및 내부 기생충에 효과적이며, 경구 또는 주사로 사용.

재진)

1~2주뒤 재진하여 눈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