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Cardio&Resp1 ARDS / 급성호흡곤란증후군 /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ARDS [인의] 급성호흡곤란증훈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은 다양한 원인으로 폐포-모세혈관 벽의 투과성이 증 가하여, 폐포강 내에 삼출액이 차고, 호중구 의존성 폐손상 및 시토카인의 증가, 표면활성제와 응고체계의 이상 등으로 인하여, 산소치료에 반응하지 않은 저산소증을 나타내는 중 증 임상증후군이다 57%의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3] 이와 같이 나쁜 예후를 보이는 ARDS는 1967년 Ashbaugh 등[4]이 심한 호흡곤란과 불응성 청색증, 폐유순도 의 감소, 흉부 방사선 검사 상의 양측성 폐침윤. 호흡기계 유순도의 감소와 사강의 증가는 ARDS의 특징 적인 병태생리이다. ARDS 환자들에서 호흡기계의 유순도는 폐용적의 감소를 반영하며,[4] 사강의 증가는.. 2023. 4.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