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전

[실전] PLE IBD

by 태조산 2024. 8. 23.

(1) CC, findings

- 알부민 저하

(+/- 설사)

 

(2) 검사

- cbc, 14종, 전해질, cpl, crp, 뇨검사, 흉복방사선, 복초 (+/- b12,코발라민,TLI :: 이 수치들은 참고용. 요즘거의 안함. 내복약에 cobal po 먹이면 굳 (특히 만성에서))

:: 검사결과 초음파상 이상소견이 없을수도있다. (상태 양호하면 통원)

:: 검사결과 특이사항이 없을수도 있다

:: hypo alb : 간/pln/ple 배제된거 확인

- 분변 pcr

 

(3) 입원

 

1) 알부민 보충

(( Alb 저하에 대한 증상은 2.0 이하더라도 나타난다. 2.0 이하라면 조치를 취해주어야 한다.))

- alb 1.5~1.8 이하라면, 일단 휴먼알부민 수혈한다 ([실전]알부민 참조). 2.5 타겟잡고 올린다.

- 장염상태에서 수술했다가 혈복생기거나 저알부민혈증 재발 가능... 충분히 고지...

 

2) 장염관리

- 처음 프라지퀜텔같은 구충약 2일

- metro 7.5 mpk + 식이변경( CE 이라면, hypo 추천하지만, PLE (alb 저하) 있다면 low fat 먼저 시도해보는것 추천한다. 고양이 CE 일때는 Gi 사료가 개선이 잘된다 카더라)

- 스멕타, 바쏘드, 잘먹으면 파이보

 

3) 분변pcr neg 확인되고, 복수가 찰정도로 심각한 hypo alb 아니라면

- pds 0.5 mpk 으로 관리되는지 관찰, '(4) 개복술' 보류

 

4) 그 외

- 코발라민보충

- 담낭 안좋으면 UDA 10 mpk bid

 

(4) 개복술 고려

- 카케치아 or 복수찰정도로 심각한 hypo alb  + 식이나 항생제치료에 반응없는것 확인된다면

- 바이탈 및 알부민 및 장염 상태 호전되면 개복술 시행 (보통 입원 2 or 3일차에 진행)

- 개복해서 조직검사 시행 (full thickness)

 

--- 하지만.... 이 상태의 아이들은 근육층 얇아져있는경우 많다.

- 유합안되서 찢어지기 쉬움

- 특히 고양이는 그냥 ibd 더라도 장 그냥 터질수 있음. 아무것도 안해도

- 내시경 현란하게 가능하면 가능한 내시경 바이옵시 추천한다.

 

(5) 통원

- 처음 프라지퀜텔같은 구충약 2일 (안먹었으면 처방)

- metro 7.5 mpk + 식이변경

- 스멕타, 바쏘드, 잘먹으면 파이보

- 내복약에 코발라민 (알약으로된거있음) 섞을수있음 ( 코발라민 저하 확인된다면 best )

 :: 코발라민250 µg/cat SC weekly (for 4-6 weeks)

 :: 50 µg/kg SC every 2 weeks in dogs

 

(6) 재진

- 상태에 따라 3~7일 안으로 잡는다

- 리첵 : alb , 체중 + 안좋았던거

- metro 먹고 호전되었다면 동일 약 총 2주먹고 중단

- pds 0.5 먹고 호전되었다면 총 2주 간격 25% 씩 taper 시도

 

(7) 재발

- 반복되면 metro 7.5 mpk 씩 1~2주간 가끔씩 먹어야 할수도있다.

- 반복되면 사료를 다른 회사로 바꿔보자 아니면 다른 라인의 사료.

 

(8) 조직검사까지 가게되었을경우

- [강의] 만성 장질환을 참조

- [강의 정동인 교수님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