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의

[인의/생리학]PAWP

by 태조산 2023. 1. 24.

 ■ 폐 고혈압의 정의와 분류
폐 고혈압 (PH; pulmonary hypertension)은 심장으로부터 폐로 혈액을 공급하는 폐동맥의 혈압이 높아지는 것으로 mPAP (mean pulmonary artery pressure, 평균 폐동맥압)이 25 mmHg 이상일 때 PH로 진단된다. 전모세혈관성 PH(pre-capillary PH)은 mPAP이 25 mmHg 이상이지만 PAWP(pulmonary artery wedge pressure, 폐동맥쐐기혈압)는 15 mmHg 이하인 경우이며, 후모세혈관성 PH(post-capillary PH)은 mPAP이 25 mmHg 이상, PAWP이 15 mmHg 이상인 경우이다.

 
후모세혈관성 PH은 이완기 혈압차 (diastolic pressure gradient, DPG)가 7 mmHg 미만이고 PVR (pulmonary vascular resistance, 폐혈관 저항)이 3 WU 이하인 고립성 후모세혈관성 PH(isolated post-capillary PH, Ipc-PH)과 이완기 혈압차가 7 mmHg 이상이고 PVR이 3 WU 이상인 복합성 전후모세혈관성 PH (combined post-capillary and pre-capillary pulmonary hypertension, Cpc-PH)으로 분류된다. 후모세혈관성 PH은 좌측 심장 질환에 의한 PH(그룹 2)과 원인이 불분명하거나 다양한 기전에 의해 나타나는 PH(그룹 5)에서 주로 관찰된다. 

 

- systemic circulation 혈압은 120/80 (millimeters mercury)인데, pulmonary circulation 24/12밖에 안됨.

- 저산소 발생하면 systemic 순환에서 반응은 혈관 확장시키고 순환 확장시킴.

- pul 순환에서 저산소 발생하면 혈관을 축소시킴.

- 폐모세혈관에서 산소분압은 10mmhg 인데, 알베올라의 온코틱 압력은 25mmhg 이라서 net 15mmhg 가 혈중으로 들어오기 쌉가능. 그래서 pul capillary pressure, pul arterial pressure 가 25mmhg 이상으로 가면 congestion, edema 가 일어난다. PH 혹은 PAH 은 pul arterial pressure 가 휴식중 25이상, 운동중 30이상이라는거임.

- 잠깐 폐고혈압이라면 interstitium(인터스티치움) 이나 림프계로 압력을 뺄텐데, 계속 PH 있으면 망 인거임.

- PVR 은 심장으로따지면 afterload 같은 개념임. pulmmonary capillary 에 작용하는 압력이 PVR.

- PAWP 는 우심방에 카테터넣어서 pulmonary artery 로 직빵으로 넣어서 압력재는거임.

 

Pressure of lthe pulmonary artery = CO*pulmonary vascular resistance + left atrial pressure

 

==> P_pul. a. = CO*PVR + P_l. atrium

이런공식이라 CO, PVR, P_l.atrium 증가 모두는  P_pul. a. 을 증가시킨다.

 

PH을 일으키는 원인들

1) PAWP 으로 직빵으로 쟀을때 높아진 혈압

2) 좌심방의 문제 : 판막, LHF

3) 저산소증 : COPD, interstitial lung disease, obstructive sleep apnea ==> 혈관수축해서 PVR 상승한다.

4) pulmonary embolism : PVR 상승시켜서 pul artery p. 상승시킨다.

5) 기타 : 그레뉼로마 (혈관막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