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전

[실전] CKD

by 태조산 2024. 8. 27.

(1) 내원형태

- 기력저하, 식욕부진, 탈수

- 전해질불량의 응급내원

 

(2) 검사

- 신체검사 : 탈수관련된 지표, 입냄새나는지,,

- cbc, 뇨검사(비중,스틱, 침전 확인), 14종, 혈압

* UPC 검사는 나중에 변할수있어서 하려면하고,, 나중에 체크...

* 비중, 스틱 중요

* proBNP 는 질소혈증때문에 높게 나온다. 나중에 체크...

* 너무 카케칙하면 SDMA 추가

- 흉방 복방

- 복초 (+/- 수화되어있으면 심초)

* 특히 고양이는 탈수되면 심근 두꺼워져보여서, 탈수교정, 수화 하고 심초보는것 추천

 

(3) 보호자에게 설명

- ckd 만성질환, 퇴행성, 속도 늦추고 qol 챙기는게 치료

- 동물은 투석이나 신장이식 없어

- 수액관리 해보고, 최저점 platuea 확인될때까지 입원하자 (보통 5~7일걸리는 편)

- anuria, oliguria 시 예후불량, 연락드리겠음

- cpe 같이올시 관리어렵, 예후불량

 

(4) 입원관리

a) 심장 양호할때

- 기저질환에 따라 1.5~2 fold 설정

- 1일 1 전해질, 신장수치 (bun,cr) 체크 +/- P , ca 체크

- 혈압 체크 : 낮으면 dobu CRI, 너무 높으면 단백뇨약물 같이 투약 고려

- 신장사료로 변경

- esome 0.5~1mpk sid~bid

- 오줌 잘 싸는지 체크

- 먹을수있으면 인흡착제

 

b) CRS 일때

- 0.5~1.5 fold 설정

- 호흡수 모니터링 빡쎄게

- 탈수 심하다면 이뇨제 잠깐 끊고, 상황에따라 pimo 0.25 mpk tid 으로 급여

- 이뇨제로인해 hypo Na 심하다면, 20 ml/kg PO 구강수액/day 추가

 

(5) 퇴원안내

- 빈혈 = dPO 주사 맞으러 다니세요

- 탈수 = 피하수액

- 사료바꾸세요

- 인 조절 = 인흡착제

- 질소혈증 = 악화될거에요

 

(5)-1 빈혈관리

- 개 target 30%, 고양이 25% HCT. target 도달할때까지 dpo 1ug/kg SC 1주일에 한번, 이후 상황에 따라 2~3주간격 재진

- 보통 6주에 한번 정도로 정착 하는듯

- 한달에 한번씩 철분제 IM 10 mg/kg (cat)

- 보통 일주일에 3% 정도 오르는걸 생각하고 준다. (넘빨리올라도 고혈압)

 

(5)-2 인흡착제

- 기저질환없음, first choice : 란타늄 (포스레놀) 10 mpk BID +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암포젤) 30mpk BID ~ TID

(인흡착제는 밥시간에 밥과함께 제공하세요)

- 이파키틴은 어차피 칼슘카보네이트라서 칼슘을 보고 처방. 보통 칼슘카보네이트는 Ca 수치때문에 잘 못쓴다.

- 송우진 : 인흡착제는 lanthanum, sevelamir 순으로 사용

 

(5)-3 단백뇨 약

- UPC 0.2~0.4 일때는 2달안에 재평가 되어야 함

- UPC 0.4 이상일때는 명확한 단백뇨임

- acei 우선 사용 (진짜 단백뇨가 계속 있고 지속된다면 clopidogrel 같이처방)

- 고혈압동반한다면, 고양이는 amlo 같이처방가능

 

(5)-4 혈압

- 만약 200 이라면 한번에 150 까지 떨어트리지 말자. 180 정도까지만 감소 (어차피 acei 으로는 10~15정도만 떨어질것임)

- 약빨 올라오는데 1주일이상 걸린다

- 고혈압만있으면 amlodipine 원내에서 160 이상이 지속적으로 높은경우 (CKD환자에서), amlodipine을 0.1~0.2 mpk bid로 우선 처방 ( $ ckd 환자에서 가급적 사용 안하는게 나을듯)

- 단백뇨있으면 acei or arb 우선 사용 (처음부터 두개 동시에 x, 고칼륨혈증), 필요에 따라 amlodipine 추가

- 만약 단백뇨관련 약물 처방시 cr 올라간다면 저는 25~50% 정도 감량

- 큰폭으로 증가했거나 환자가 임상증상이 생기면 일시 단약개에서는 telmisartan 에 부작용이 큰 경우 losartan, ivalsartan 을 투여해보기도 합니다. 또한 사람용 telmisartan을 주어보기도 합ㄴ디ㅏ.

 

(5)-5 피하수액, 경구수액 (*치료에 영향을 제일 많이 줌. 레나메진 좆까)

- NS 우선선택

- $ 보통 20ml/kg/day 부터 시작 (ex, 3kg 강아지 하루 50 ml 피하수액, 혹은 eod 100ml 피하수액)

(레퍼런스 필요하면 찾아보자)

- 한 부위에 50 ml 까지만 넣자. 100 ml 필요하면 양쪽에 넣자.

- 유지되면 eod, 일주일에 3회 등으로 늘릴수도있음

- 하트만 선택 가능 하지만 S** 에서는 안쓴듯? (당수액만 아니면 됨..)

(주의, 처음에는 과량의 수액이 도움이되어도 나중에는 오히려 해가되니 줄여나가야 할듯. (경험 더 쌓여야 할듯))

(케이스중에 요키 3fold 으로 피하수액으로 관리하던 애도 있음. 밑빠진독...)

 

(5)-6 위장증상

- 우려되면 알마겔, esome, famo 등 처방

 

(5)-7 기타 영양제

- 오메가3 같은 경우에는 조기 처방 먹으면 굳

- 아조딜 : 식전복용, 냉장보관, urea, cr 등과 친화력높은 프로바이오틱스.

3kg 1t sid, 3~5kg 1t BID, 5kg 이상일때 2t 오전, 1t 오후

- 레날 어드벤스드 : 식전 , 아조딜과 동일 + vit B

- 레날 : 인 막음

- 이파키틴 : 칼슘카보네이트 인흡착제 (Ca 수치보고 처방)

- 레날 k : 칼륨, 비타민 공급

- 레나메진 : 식후 1~2시간뒤복용. 탄소계 흡착제라서 다른 약제와 30min ~ 1hr 간격. 변비 설사있으면 먹지말자.

개 100mg/kg, 고양이 400mg/head day (보통 이렇게 못먹인다.) (레나메진 1cap 에 약 300 mg)

- 그 외 보호자가 희망하는 신장보조제 :  객관적 평가가 필요하다 생각합니다만, 부작용이 없고 기호성이 좋다면 시도해보는것은 합리적이라 생각합니다. (사료 외에 진행 예방에 큰 도움이 되는 것이 없으므로)

 

(5)-7식이

- 신장사료급여

- 식욕촉진제 : 1/4T~1/2T SID를 소형견에서 투여

 

(6) 재진

- ckd 3 ~ 4 정도되는 안좋은애들은

- dpo 6주정도에 한번씩 맞을때마다 체중, 혈압, 신4 리첵

'실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전] 임신  (0) 2024.11.08
[실전] 노령동물 장염, 췌장염으로 시작된 SIRS, 패혈증, mods  (0) 2024.08.27
[실전] 지방간  (0) 2024.08.25
[실전] 항문낭염 (dog,cat동일)  (0) 2024.08.24
[실전] PLE IBD  (0) 2024.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