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내원형태
- 구토, 기력저하
- 전날 족발, 감자뼈, 큰개껌간식스틱을 준 경우가 많음
(2) 검사
- 신체검사, 혈압
- cpl 포함 b/a
- 흉방 복방
: 복부안에 음식물이 소화안되는 경우, 특히 돼지뼈는 남아있으면 위험할수있다
: 복방찍었을때 음식물이 안내려갈수있다. 폐색아니면 기다려보자
- 복초
: functional ileus
+/- 필요시 뇨검사 (보통 필요하지 않음)
- 너무너무 DIC, 패혈증 의심되면 pt/aptt or d dimer 같은거 해서 응고지연 확인한다.
(d dimer 는 급성에는 안오를수있다.)
(dic 아닌 동물에게도 염증시 미약한 상승이 있을수있다)
(PLT 수치와 함께 보자)
(근데 dic 확인되도 할수있는건 없음. 걍 예후파악정도)
(3) 보호자 고지
- 경과 관찰해야하며, 현재 예후 예측은 어려움 (즉, 병변 심화될수있음을 충분히 고지해야함)
- 치료 최소 3일
- if 췌장염 = 전신 부종, 복막염, 흉수 유발
- if AHDS (출혈성 장 증후군) = 혈토 혈변 볼수있음 = 공격적인 수액 처치 = 알부민 희석 가능성 = 알부민 수혈 필요 가능성
- if 염증 심화 = sirs = 이후 패혈증, mods 오면 예후 불량
- if 빈혈, 알부민저하 심화 = 수혈해야함
+/- 이물이 크거나 심하면 천공가능성 (모니터링 필요)
- 설사하면 엉덩이 털 밀어버리기
(4) 입원치료
- b/a모니터링할것 (예시) :
- cbc (빈혈 중간체크 목적. wbc 하락세 관찰목적으로는 2일정도 후행해서 적절하지 않음, 혹은 neutropenia 상태였다면, 이게 호전되는지 관찰위해 리첵)
- alb, 혈당, CRP (경험상 crp 는 하루정도 후행함) ,
- 고양이는 fsaa (경험상 정확도가 높진 않으나, 치료반응모니터링 or 보호자 설명목적으로 본다.),
- 전해질 ( hypo Na 과수화? hypo K 칼륨보충? 필요한지 등 관찰 )
- cpl (경험상 모니터링툴은 아님. 높은정도가 심각한 췌장염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cpl 사라지는 경향 or 사라진것은 확인해볼수 있다.)
- 흉방 or 복방 모니터링 : 흉복수 여부
- 필요한부분 초음파 대보기
- 바이탈모니터링 : 혈압, 호흡수, 체중
a) fluid therapy
- HS first
- 그 외 하프하프 0.45 ns + 2.5dex
- 건강하면 ns 달아도 됨
- 수액속도는 탈수정도에 따라서
- 췌장염시 호의주 첨가
- 혈당 모니터링 낮아질것같으면 HD 으로 달고 혈당모니터링
a*) AHDS
- 출혈성 장증후군
- 2~2.5fold 공격적인수액처치 필요
- cbc 모니터링 hct 감소 확인하자
- 주의 : 알부민 희석
a**) 부종
- 체중이 BW*1.07(7% 탈수기준 목표체중) 보다 많이 증가한다
- 피부가 뭔가 탱글탱글하고, 과수화된것같다
- 췌장염으로 전신부종 오면 수액속도를 줄일수있다. 0.5~1 fold
- 방사선상 폐수종 발견되고, 정말로 필요하다면 furo 0.5~1 mpk 를 사용해볼수도 있겠으나, 차라리
- 몸안 조직들 사이토카인 많아져서, 삼투성으로 + 부종생길정도면 알부민 1.8 이하, 알부민수혈 적극고려 (alb 2.0~1.9 정도면 애매한데, 보호자 성향과 아이의 상태에 따라 고려))
- 수액처치로 알부민 희석된거때문인지 불분명
a***) 흉수
- 보통 modified transudate
- 흉수검사할때 TNCC, TP, 병원균만 확인해도 충분
- 췌장염때문에 흉수가 차는거면 양이 그렇게 많진않아서 뽑지않아도 됨
- 췌장이 상복부에있어서 염증 횡격막 위로 퍼져서 흉수차는거
b) 항생제
- metro 10 bid, ams 18 mpk tid +/- enro 5mpk~10mpk sid (or marbo 2.75 mpk sid) 으로 시작하는게 일반적
- 처음에 2개만 쓰다가 컨디션 나빠지면 quinolone 추가하는것도 방법
- 상태 안좋아지면 meropenem 13 mpk tid~ bid +/- quinolone 고려할수있다
c) 항구토제
- cerenia 1 sid
- ondan 0.3~1 mpk bid~ tid
+/- 이물아니면 meto CRI or 0.3 mpk bid~tid SC (경험상 meto 는 많은 도움이 된다, ileus 면 이물,장출혈 아니면 줄수있다면 주자)
(특히 : 위내 음식물(개껌, 뼈) 남아있는경우 , 소화능 저하되서 24~48시간동안 배 안에 남아있을수도. 근데 이후에도 계속 남아있고, 상태 호전없으면 예후불량)
d) gastroprotectant
- esome 0.5 mpk sid~bid
- po 알마겔 0.5~1ml bid~qid (설사 심하면 스멕타도 추가한다)
e) 진통제
- buscopan 0.1 ml/kg sc or iv dog sid~bid, 0.05ml/kg sc cat sid~bid
- buto 0.1 mpk bid ~tid
d) 혈당 모니터링
- 저혈당 지속발생시
- 총 dex 7% 까지 사용 가능. 그 이상은 혈관염 우려.
(5% 까지는 혈관외누출extravasation 되도 혈관염 안생김. 생길정도면 코반감고 진짜 방치한거임
f) 혈압모니터링
- 나이든동물은 100 이상 유지되도록 유지.
- 젋은애들은 120 이상
- 패혈증에서 노르에피네프린 first
*빠른 계산
- 100 ml + 노르핀주 (1mg/ml) 3ml 타면 1ml/kg/hr 할때 0.5ug/kg/min
- 처음에 0.5 ml/kg/hr 으로 시작해서 시간마다 혈압재면서 0.25ml/kg/hr 씩 증량한다.
- 정말로 죽어갈때 바소프레신... (장염에서 이정도까지 가진 않음. 그전에 mods 으로 집에가거나(호스피스), 과호흡하다가 급사)
g) 급여
- 승압제 줄일때쯤 급여시작
- 3ml ~ 5ml qid 으로 시작해서 점점 늘려나가기
(*즉, 혈압 관리안되면 급여 피하자)
- 가스트로 로우펫(췌장염일때)
- 그 외 GI 관련사료 추천
h) 내복약
- 알마겔, 스멕타
- lypex, 베아제 같은거 식사때마다 섞어서
- lypex 1T / day (~10kg까지)
- 장염이 너무너무 심하면 디펩티벤같은거 0.4g/kg/day po tid ~bid 나누어 급여가능 (비용때문에 별로)
- 결장염인경우 파이보 급여
i) 알부민수혈
- 부종, alb 1.8 아래 (1.9~2 는 애매)
- 빈혈
j) MODS 의증 --> 예후불량
- Cr, bun 모니터링
- 뇨량 반드시 확인
- 뇨팩장착
- UO 1ml/kg/hr 되는지 확인
(5) 퇴원
- 집에서 관리가능할것같은 상태면 통원관리
- metro 10~15 mpk, beastase 4mg/kg (1T=50mg), lypex , famo + meto 0.3mpk 알마겔 or 스멕타
- 상태에따라 2~5일뒤 재진
- 심한 췌장염은 만성췌장염으로 남아있을가능성 있음, 저지방 사료 권고
(6)재진
- 췌장 초음파상 cyst 가 생겼을수도있는데, 특별한 처치가 필요하진않다. 볼륨 너무 크면 천자하여 용량을 줄여주자.
- 천자 했으면 C/S 보내볼수있다.
'실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전] basic soft tissue 마취 (0) | 2024.11.09 |
---|---|
[실전] 임신 (0) | 2024.11.08 |
[실전] CKD (0) | 2024.08.27 |
[실전] 지방간 (0) | 2024.08.25 |
[실전] 항문낭염 (dog,cat동일) (0) | 2024.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