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전

[실전] basic soft tissue 마취

by 태조산 2024. 11. 9.

대형견, 리트리버, 이탈리안그레이하운드 같은애들 주사마취하면 구토할 확률 높음.

세레니아 미리 주사하는것 추천

 

고양이 미용마취
케타민 0.1ml/kg 5mpk
도미토 = 케타민의 1/3 30~50ug/kg
리버살 = 도미토의 1/2 (도미토의 5배 150ug~250ug/kg)


개 스켈링 마취
케타민 (0.12~0.15ml) + 도미토(케타민의 1/5)


호흡마취 : 여중 (보통 총 마취시간 prep 부터 시작하여 40분~1hr 정도 되는 편) , 스케일링
주사마취 : 남중, 탐캣
 
보통 로컬에서
- 케타민염산염 50mg/1ml == 0.1ml/kg 시 5mpk 
- 도미토 medetomdine 1mg/ml ==  도미토 용량으로 0.02~0.08ml/kg 주면, 20~80 ug/kg (개는20, 고양이는 50)
- 안티세단 atipamezole 5mg/ml
(참고: 고양이 구토유발시 , 자일라진 키로당 0.05ml/kg (0.55mg/kg))

- 부토 2mg/1ml

- glycopyrrolate (모비놀 0.2mg/mL ) : 체중당 하프도즈 (0.05ml/kg) ~ 0.1ml/kg 생각하면 될듯.  0.005 ~ 0.02 mg/kg iv

- 리도카인 = 2% (20mg/ml)  (각 고환당 0.1ml/kg (2mg/kg) 한다고 생각하면 될듯) (하지만 각 고환당 0.05ml/고환 해도 충분한 효과가 있다) ( $$ 주의 : 고양이는 리도카인 분해 간효소 별로 없어서 systemic 하게 사용 하지 않는다)

Feline or canine testicular block (고환에 찌르는거)
4 mg/kg (cat), 6 mg/kg (dog) of lidocaine (이거 반량씩 각 고환에 주사)계산된 양의 ½을 흡입하여 각 고환에 주입하거나 고환이 갑자기 팽창할 때까지 주입합니다. 어느 쪽이 먼저 발생하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ref : https://www.aaha.org/resources/2020-aaha-anesthesia-and-monitoring-guidelines-for-dogs-and-cats/local-anesthetic-techniques/for-castrations/)

 



rui
( 전마취 보통 업음,, 상황에따라 buto정도)
케타민
도미토
안티세단
컨베니아

SMT :
- 주사마취
  * 고양이 남중 마취 케타민 0.1ml/kg ~ 에서 조금 더 뽑음 (5 mg ~ 6mg/kg) + 도미토 0.025ml/kg
안티세단 도미토용량절반 (시간에 따라 경험에 의거하여 조정) 0.115ml/kg

- 호흡마취
* 전마취 butopanol 0.1ml/kg, atropine 0.05 ml/kg SC

 
HGH : atropine, buto 안줘요, buto 주면 혈압 떨어지는 느낌
프로포폴 1mlkg iv 이후에 케타민 0.1ml kg iv (통증반사 빨리 업애려고) 이후 삽관
HR 80~130 되도록 PEEP ~13 mmhg (배깅할때도 13 mmhg 되도록 유지)
깨고 침많이 흘이면 모비놀(글라이코)
주사마취 : 개 고양 둘다 케타민 0.15ml kg + 도미토 0.02ml kg
 
HEI : 제왕절개시 : 0.01×키로÷0.2 글리코피롤레이트 모비눌 , 리도 kg÷20, 포폴 0.8×kg
수술시 포폴과 리도카인만, 모비눌은 그냥 옆에두는용도, 심박 떨어질시


일단 고양이 마취는 개보다 많이들어간다.

 

* 메데토미딘 : 제품 = 도미토

개 20~80 ug/kg ( 도미토 용량으로 0.02~0.08ml/kg )

고양 50~150 ug/kg (개보다 2배라고 생각하면 됨)

 

아래 표의 형광펜 친 부분은, 해당 약물과 콤비네이션 할때, 도미토가 몇 ug 들어가야 하는지를 나타낸 표 이다.

개는 보통 20 ug 정도이고 고양이는 50 ug/kg 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combinant 부분은, 예를들어서 개에서는 medetomidine 20 ug/kg 에 butor 0.1 mg/kg 을 넣는다는 뜻

https://www.noahcompendium.co.uk/?id=-459355

 

* 경험상 IM 고양이 진정 정도는

케타민 0.1ml/kg (5mpk) + 메데토미딘 (케타민의 1/4용량)(25ug/kg) + 부토 (0.4mg/kg) 정도가 진정이고

(개는 Im 으로 이정도 마취가 가능하다. 개는 부토는 0.2mg/kg)

마취 하려면 처음부터 쎄게 주자

고양이의 경우 IM 으로 하는경우 : 케타민 5mpk + 메데토미딘 50~80ug/kg (진정의 2~3배) + 부토 0.4mg/kg


케타민, 그리고 강직

 

강아지에서 **도미토(Domitor, 메데토미딘)**와 케타민으로 마취를 유도할 때, 마취 초반에 근육 경직이 나타나는 것은 주로 케타민의 약리작용 때문입니다. 도미토가 이완시키는 역할이고 케타민이 강직시키는거라.

도미토 먼저 주사하고 케타민 주사하는게 더 나음

 

도미토(메데토미딘):
심혈관 억제: 심박수 감소(서맥), 심박출량 감소, 심정지 위험.
혈압 변화: 초기 고혈압 후 저혈압이 나타날 수 있음.
호흡 억제: 호흡수 감소, 저산소증 발생 가능.


케타민:
심혈관 자극: 고혈압, 빈맥, 심부정맥.
호흡 억제: 고용량 사용 시 호흡 저하.
근육 강직: 적절히 조절되지 않으면 기관 삽관에 어려움.

 

Q.케타민 단독 주사는 안되나?

  1. 간단한 절차:
    • 짧고 덜 침습적인 절차(예: 가벼운 처치, 상처 봉합)에서 단독 사용 가능.
  2. 시간 제한:
    • 10~20분 이내에 끝나는 절차에 적합.
  3. 다른 약물 금기 시:
    • 진정제나 알파-2 작용제가 사용 불가능한 환자에서 고려.

단독 사용의 제한점과 문제점

  1. 근육 경직과 흥분:
    • 케타민은 근육 이완 효과가 부족하여 동물이 경직되거나 불편해질 수 있음.
    • 특히, 기관 삽관이 필요한 경우 경직이 큰 문제가 될 수 있음.
  2. 심혈관 자극:
    • 케타민은 심박수와 혈압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어 심혈관 문제가 있는 환자에서는 주의가 필요.
  3. 완전한 진정 부족:
    • 단독으로는 완전한 진정 상태를 유도하기 어려워 동물이 부분적으로 반응할 가능성.
  4. 호흡 억제:
    • 고용량 사용 시 호흡 억제 위험이 증가하며, 산소 공급과 모니터링이 필요.

 

Q. 그러면 부토파놀이랑 합제하는건? (케타민+부토파놀)

  부토파놀 자체는 근육 이완 효과를 유도하지 않으, 근육 긴장이나 경직을 완화하기 위한 약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다만, 진정 효과로 인해 간접적으로 동물이 이완된 상태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진정 효과는 주로 kappa 수용체 활성화로 인해 나타남.

 

더 안전한 대안: 병합 요법

케타민 단독 사용보다는 다음과 같은 약물과 병합하는 것이 더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

  1. 진정제와 병합:
    • 벤조디아제핀 계열(미다졸람, 디아제팜):
      • 근육 이완 효과를 추가로 제공.
    • 알파-2 작용제(도미토, 덱도미토):
      • 진정과 진통 효과를 강화.
  2. 국소 마취제 보조:
    • 간단한 처치라면 국소 마취제를 병행하여 마취 깊이를 보완.

1. 케타민의 약리작용

케타민은 NMDA 수용체 길항제로 작용하여 중추신경계를 억제하지만, 동시에 흥분성 효과도 유발합니다.

  • 근육 경직의 주요 원인:
    1. 근육 긴장 증가:
      • 케타민은 마취 초기에 근육 긴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완전한 이완을 유도하지 못한 상태에서 근육 강직(tonic immobility)이 발생.
    2. 운동 신경 흥분:
      • 케타민은 억제성 신호(GABA)의 감소로 인해 척수 반사 활동이 약간 증가할 수 있습니다.
  • 관련 증상:
    • 다리의 강직.
    • 입과 턱의 긴장.
    • 비정상적인 자세(예: 팔다리를 뻗는 자세).

2. 도미토의 역할

도미토(메데토미딘)는 알파2-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로, 진정 및 진통 효과가 강력하지만 근육 이완 효과는 상대적으로 약합니다.

  • 근육 경직과의 관계:
    • 단독으로는 근육 이완을 충분히 유도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케타민과 함께 사용 시 초기 경직을 완화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음.

3. 약물 조합의 상호작용

  • 도미토와 케타민의 조합은 진정, 진통, 마취 효과를 강화하지만 초기 경직을 완전히 억제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특히 고용량 케타민 사용 시 경직이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환자 요인

  1. 개체 간 반응 차이:
    • 강아지마다 약물 대사와 반응이 다르므로 일부 개체에서 경직 반응이 더 두드러질 수 있음.
  2. 기저 건강 상태: (rui : 마취할때 강직 나타났다가 잠시후에 풀리는데, 강직나타나는 애들은 마취 부작용 발생 위험이 높은것 같다. 짧은시간내에 추가마취없이 끝낼수있으면 수술 진행하고 아니면 미루자.)
    • 신경계 또는 근육계 질환(예: 신경근 질환)이 있는 경우 경직 반응이 심할 수 있음.
  3. 스트레스 수준:
    • 마취 전 스트레스나 흥분 상태가 경직 반응을 악화시킬 수 있음.

5. 예방 및 관리 방법

  1. 프리메디케이션 추가:
    •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예: 미다졸람 또는 디아제팜) 추가:
      • 근육 이완 효과를 강화하고 초기 경직을 예방.
    • 오피오이드 추가:
      • 진통 효과를 높이고 케타민의 필요 용량을 줄여 경직을 완화.
  2. 약물 용량 조절:
    • 케타민의 초기 용량을 줄이고 도미토의 진정 효과를 먼저 유도.
    • 저용량 케타민 사용 후 추가 투여 방식으로 경직 감소.
  3. 모니터링과 대처:
    • 경직이 발생하면 도미토와 케타민의 균형을 재조정.
    • 필요 시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을 정맥으로 추가 투여.

6. 경직이 자연적으로 완화되는 경우

  • 대부분의 경우, 경직은 약물이 충분히 작용한 후 몇 분 내에 완화됩니다.
  • 근육 경직이 마취 유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큰 문제로 발전하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결론

강아지에서 도미토와 케타민으로 마취할 때 경직은 주로 케타민의 신경계 흥분 효과와 도미토의 상대적으로 약한 근육 이완 효과의 결과입니다.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 추가, 약물 용량 조절, 그리고 적절한 모니터링으로 이러한 경직 반응을 예방하거나 완화할 수 있습니다. 경직이 지속되거나 심각한 경우 추가적인 마취 약물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실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전] 임신  (0) 2024.11.08
[실전] 노령동물 장염, 췌장염으로 시작된 SIRS, 패혈증, mods  (0) 2024.08.27
[실전] CKD  (0) 2024.08.27
[실전] 지방간  (0) 2024.08.25
[실전] 항문낭염 (dog,cat동일)  (0) 2024.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