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vr(말초혈관저항) = bp
co = HR*SV
SH (systemic hypertension) = 지속적이고 병리학적으로 전신동맥혈압이 상승하는 상황.
특히 수축기혈압 Sytolic arterial pressure 의 지속적 상승이 중요하다.
SH 에 속발한 target organ damate TOD 의 가능성에 중점을 둔다.
교감신경계가 혈관, 신장, SV, HR 에 영향을 준다.
신장에서는 RAAS 가 증가한다.
알도스테론이 증가하고 Na 가 저류한다.
전부하가 증가하면 다시 SV, HR 에 영항을 준다.
그러면 말초혈관저항 PVR 이 증가한다.
SAP 가 상승한다.
교감신경계가 혈관에 영향을 주면 혈관평활근의 긴장도가 상승한다.
내피의 endothelin, TXA 와 NO 가 감소한다.
비만 : SH 사이의 관계가 적다.
신장질환 : 대표적인 SH 의 원인이다.
고양이에서는 SH 의 100%-60% 고양이가 CKD 이다.
하지만 CKD 에서 SH 이환율은 20-65% 으로 다양하다.
고양이는 SH 가 혈관긴장도 증가와 관련이있어서 CCB 에 반응잘함.
PKD 는 SH 이환율이 높지않다.
SH 는 AKI 에서도 발생한다.
HAC 부신피질기능항진증에서 SH 의 발생율은 60 90%임.
미네랄코르티코이드증가 --> RAAS 활성 --> GC 유도 --> NO 생산억압.
근데 HAC 기전 안완벽하게 발견됨. HAC 치료되도 SH 유지되는경우 많음.
부신종양 : rare 하다.
갑기항 : 인간에서는 CO 증가해서 심박수증가하는데, 개고양이에서는 rare 하다.
당뇨병 :
DM 에 속발한 신장질환 --> 인간 type1 당뇨병 고혈압 발생 주요기전.
대다수 당뇨병개는 SAP 가 160 이하이다.
고양이 DM SH 관계는 rare
심혈관계와 식이
: 심장질환은 SH 를 유발하지않는다.
고염분식이와 SH 상관관계는 알려진바 없다.
white coat 고혈압
병원에서 교감신경활성때문에 혈압올라간다.
그레이하운드가 몇일뒤에도 혈압상승효과가 지속되었다고 나온다.
특발성고혈압
개에서 rare
고양이에선 1/5 가 특발성 (하지만 과대해석인듯. CKD 일것으로 추정)
SH 있는 고양이가 Cr 높았고, USG 낮았다.
SAP 150 mmg 이하면 TOP 발생 낮아진다.
SH 는 심장에 변화를 유발한다.
좌심실비대 LVH : 압력 과부하에의한 심실긴장력증가.
'전공책 > Etting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tinger] 222장 - FIV/고양이 면역결핍증 (0) | 2023.01.30 |
---|---|
[ettinger] 358장 동반질환2 - 당뇨병과 스테로이드반응성질병 (1) | 2023.01.25 |
[ettinger] 357장 동반질환1 - 심신부전/CRS (1) | 2023.01.25 |
ettinger 제 16편 심혈관계 (0) | 2023.01.25 |